호남과 오끼나와의 文化(문화) 비교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21:30
본문
Download : 호남과 오끼나와의 문화 비교 연구.hwp
그리고 덕발 위에 짚발이나 대발을 …(To be continued )
다. 이것을 전남에서는 덕발이라고 한다. 한국에서 이중장제의 명칭은 초분(초분), 외빈(외빈), 생빈(생빈), 최빈, 초빈, 외분, 외봉(외봉), 고름장, 초장(초장), 건품 등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로 이칭이 많다.
Download : 호남과 오끼나와의 문화 비교 연구.hwp( 90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1. 호남의 세골장
1. 호남의 세골장 (1) 초분형 세골장초분은 시체를 땅속에 매장하지 않고 일정기간 지상에 두었다가 육탈된 뼈를 추려 매장하는 ... , 호남과 오끼나와의 문화 비교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1) 초분형 세골장
초분은 시체를 땅속에 매장하지 않고 일정기간 지상에 두었다가 육탈된 뼈를 추려 매장하는 ...
순서






호남과 오끼나와의 文化(문화) 비교 연구
레포트/인문사회
1. 호남의 세골장
(1) 초분형 세골장
초분은 시체를 땅속에 매장하지 않고 일정기간 지상에 두었다가 육탈된 뼈를 추려 매장하는 복장제(이중장제)이다.
한편 전남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졌던 초분의 형태에 축대장(석단장)이 있다 이 형태는 네 가지 유형 가운데 평지장에 속한 것이고 지금도 서남해안과 도서지방에서 행해지고 있다 축조방법은 먼저 관을 수평으로 놓을 만한 크기의 돌대를 쌓는다. 그 중에서도 초분이 가장 흔하게 쓰여졌으며, 그 명칭은 제1차장 때 대개 짚으로 이엉을 하여 덮는 데서 origin한 것으로 추측된다 국립목포대 박물관,『진도군의 문화유적』 (광주: 광주일보 출판국 1987), p 246.
초분의 형태는 지금까지 조사지역과 연구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볼 수 있지만 크게 분류하면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광규와 이두현의 분류에 의하면 초분의 유형은 평지장(surface burial), 평대장(platform burial), 수장(tree burial), 가매장의 네 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