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융 제련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20:00
본문
Download : 용융 제련로.hwp
순서






용융제련로
(3) 전기로
(1) 전기로의 구조
전기로에는 여러 가지 형상이 있으나 반사로형의 단형이 많이 쓰인다.
(2) 전기로의 조업
전기로 매트용련은 반사로 용련과 비슷하며 로는 연속적으로 가열하여 장입물에서 매트와 슬랙이 연속적으로 산출한다. 전기로는 반사로와 그 구조가 두 가지 면에서 다르다. (b) 천정은 가볍고 값이 싼 내화점토 벽돌로 스프링 아치형으로 만든다. 전극은 슬랙층이 1~1.4m일때 매트면상 0.5-1m에 오게 하며 전도도가 큰 슬랙일수록…(drop)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용융제련로 , 용융 제련로공학기술레포트 ,
용융 제련로
Download : 용융 제련로.hwp( 49 )
다. 전기로에는 건조정광이나 배소광을 장입하며 습광의 장입은 수분으로 인한 수증기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피하여야 한다. (a) 로는 콘크리트 기주 위에 있는 광판이나 철판위에 놓여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하는 것은 지상으로 전류의 누전을 막기위해서 필요하다. 측벽과 전극 근처에서 장입을 하여 슬랙표면이 고상장입물로 덮게 된다 장입물로 표면을 완전히 덮으므로 슬랙과 고상장입물 사이에 열전도가 양호한 조건으로 되어 용련속도가 증가하고 슬래그로부터 로가스에 열손실을 막아주며 천定義(정이) 파열을 막는 등 이점이 있다 전기로 조업이 시초에는 로상에 광판, 광편 또는 분쇄한 매트를 넣고 나서 분쇄한 슬랙을 부분적으로 채우고 전극을 광판이나 매트에 통전하여 슬랙을 녹인다. 장입물은 로에서 불연속적으로 장입하고 매트와 슬랙은 불연속적으로 일부를 유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