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노동자의 관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02:10
본문
Download : 비정규직 노동자의 개념.hwp
파견, 용역, 시설관리, 사내하청 노동자가 그 예이다.
셋째, 사업장내에 정하여진 소정근로시간에 따라 전일제(full-time)로 근무한다는 점이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관념
설명
비정규직 노동자의 관념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槪念
1. 들어가며
비정규직 노동자는 정규직 노동자에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따 그 의미를 설명(說明)하는 방식도 정규 노동의 전형적인 특징을 벗어난 모든 고용형태를 의미한다는 식으로 가능할 뿐이다.
둘째, 근로조건 등 노동관계에 관한 실질적인 결정권이 있는 사용자가 근로계약 체결의 상대방이고 중간에 다른 자가 끼어서 착취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점이다.
넷째, 사용자와 위탁, 도급 등이 아닌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법적으로 근로기준법이 당연히 적용된다 …(To be continued )
비정규직,노동자,개념,법학행정,레포트
비정규직 노동자의 개념 , 비정규직 노동자의 개념법학행정레포트 , 비정규직 노동자 개념
Download : 비정규직 노동자의 개념.hwp( 55 )
다. 따라서 정규직 노동자는 그 사용자를 상대로 노동 ...
비정규직 노동자의 槪念
1. 들어가며
비정규직 노동자는 정규직 노동자에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따 그 의미를 설명(說明)하는 방식도 정규 노동의 전형적인 특징을 벗어난 모든 고용형태를 의미한다는 식으로 가능할 뿐이다.
▶ 이보다 1시간이라도 짧은 시간을 근무하는 단시간(시간제) 노동자(아르바이트, 파트타임 등)가 있따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근무시간은 정규직과 거의 동일하면서 명칭만 아르바이트, 파트타임으로 하여 여타 근로조건을 差別(차별) 적용하는 명목상 단시간 노동자가 많다. 즉 근로기준법이 정한 1일 8시간, 주44시간 내외의 근무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규직 노동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
2. 일반적인 특징
첫째, 기간을 정하지 않은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따라서 근로기준법 제30조에 따라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노동자에게 중대한 징계사유가 있거나 정리(arrangement)해고의 요건을 충족한 경우)가 없는 한 해고할 수 없고 고용이 정년까지 보장이 된다 이 것이 정규직 노동자의 the gist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따
▶ 근로계약의 기간을 정하고 있는 경우가 바로 계약직, 임시직, 일용직 노동자이다. 그렇다면 정규직 노동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2. 일반적인 특징
첫째, 기간을 정하지 않은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따라서 근로기준법 제30조에 따라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노동자에게 중대한 징계사유가 있거나 정리(arrangement)해고의 요건을 충족한 경우)가 없는 한 해고할 수 없고 고용이 정년까지 보장이 된다 이 것이 정규직 노동자의 the gist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따
▶ 근로계약의 기간을 정하고 있는 경우가 바로 계약직, 임시직, 일용직 노동자이다.
둘째, 근로조건 등 노동관계에 관한 실질적인 결정권이 있는 사용자가 근로계약 체결의 상대방이고 중간에 다른 자가 끼어서 착취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점이다. 따라서 정규직 노동자는 그 사용자를 상대로 노동 3권을 행사할 수 있따
▶ 노동관계에 관한 실질적인 결정권이 있는 사용사업주(원청회사, 건물주, 사용업체 등)가 있으나, 근로계약체결의 상대방은 실질적인 권한이 없는 파견사업주(용역업체, 하청회사 등)와 맺고 있으며 판례상 파견사업주만이 노동법상 책임을 지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