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 방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11:00
본문
Download : 경상도 방언.hwp
방향은 경상 남·북도의 음운, 문법, 어휘로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고, 특히 어휘에 중점을 두고 영화나, 드라마,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모습을 찾아봄으로 아직도 여러 분야에서 살아 숨쉬고 있는 경상도 방언의 실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번에 살펴볼 방언은 경상도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경상방언 , 경상도 방언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경상방언
들어가기
방언의 정이는 일정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지역적, 또는 사회적 언어 변종으로 일정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예】ㄱ, ㅋ>ㅈ ,ㅊ 갸륵>자륵, 겨울>저울, 기름>지름, 키>치
ㅎ > ㅅ 형>성, 휴지>수지, 흰머리>신머리, 힘>심
t, k, h 구개…(To be continued )
다.
경상방언
Download : 경상도 방언.hwp( 41 )
,인문사회,레포트
경상도 방언에 대한 자료 입니다.
【예】곧이, 굳이 / 같이, 끝이
그 밖에 수의적으로 일어나는 變化(변화)로 ‘ㄱ, ㅋ>ㅈ, ㅊ’ ‘ㅎ>ㅅ’ 구개음화가 있는데 이것은 표준말로 인정되지 않는다.
설명




경상도 방언
경상도 방언에 대한 자료(data) 입니다. 경상방언 또한 여러 하위방언으로 나누어지는데 여기서는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성조
소리의 높낮이를 가지며 저조(L, Lː)는 다시 길고 짧음의 대립을 가진다.
다.
1. 경상북도 음운 특징
가. 모음체계
단모음 체계 /i, E, ∃, o, u, a/
이중모음 체계 /yE, y∃, yu, yo, ya/ 와 /wi, wE, w∃, wa/ 가 존재
나. 자음체계
‘s`가 음소의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 즉 고조(H), 저조(L), 저장조(Lː)가 변별됨
손 - [so:n](孫) ; [son](手) ; [son](客)
말 - [ma:l](言) ; [mal](斗) ; [mal](馬)
배 - [pE:](倍) ; [pE](腹) ; [pE](梨)
라. 구개음화 현상 국어에서 어말의 ‘ㄷ, ㅌ’은 후행하는 종속적인 /i/나 /j/의 影響으로 구개자음 ‘ㅈ, ㅊ’로 변한다. 이 지역에서는 (먹는)쌀과 (몸의)살을 모두 살로 발음한다. (책을)사라 책을(싸라)는 둘다 사라로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