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순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13:19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순자.hwp
경칭으로 순경(荀卿) 또는 손경자(孫卿子)로도 불린다. 진(秦)에 의한 전국통일(기원전 221년) 전야(前夜)의 사상계에서 활약했으며, 초(楚)나라에서 정치 실무를 담당한 일도 있다고 한다. 맹자 등의 유교사상뿐만 아니라 제자백가(諸子百家)로 불리는 전국시대의 다른 학파의 사상까지 비판섭취하여 유교로서는 상당히 특이한 사상체계를 수립했다.
순자는 한나라에서는 정통적인 유가의 인물로 여겨졌으나, 송나라 시대 성리학의 학풍 속에서 성악설이 비난받으면서부터 그 이래로 오랫동안 유가의 이단자로 간주되어 왔다.
그의 책 《순자》 전 20권은 오늘날 유교 연구의 귀중한 문헌이다. 전한 선제의 이름이 비슷하였고, 이를 피하기를 위해서 손황(孫況)이라고도 불렀다.
그에 대한 재평가는 청나라 말기에서야 다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이것을 고치기 위해서는 예의를 배우고 정신을 수련해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순자(荀子)는 그의 저술이라고 하며, `천론(天論)``예론(禮論)``성악(性惡)` 등의 여러 편 …(省略)
순서
Download : [사회과학] ●순자.hwp( 51 )
[사회과학] ●순자 , [사회과학] ●순자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순자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사회과학] ●순자
다.
![[사회과학]%20●순자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C%88%9C%EC%9E%90_hwp_01.gif)
![[사회과학]%20●순자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C%88%9C%EC%9E%90_hwp_02.gif)
![[사회과학]%20●순자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C%88%9C%EC%9E%90_hwp_03.gif)
사회과학,●순자,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 ●순자
순자
순자(荀子,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38년)는 고대 중국(中國)의 전국시대(戰國時代,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21년) 말기의 유가 사상가이자 학자로, 이름은 황(況)이다.
순자의 생애
15세 때 처음으로 제나라에서 삼도좨주라는 벼슬을 했으나, 모함을 받고 물러나 초나라로 가서 여생을 보냈다.
공자의 사상 중 예(禮)를 강조하여 발전시켰는데, 사람의 본성은 착하다는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에 반대하여, 악한 본성을 예(禮)를 통해 變化시켜 선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하였다. 사상적으로는 천(天)의 사상을 발전시킨 자사(子思)나 맹자와는 다른 예(禮)에 뛰어났던 유교 계통에 속한다. 그의 성악설은 자신의 저서 《순자》의 〈성악(性惡)〉편에 나타난 화성기위(化性起僞: 본성을 變化시켜 인위를 일으킨다)라는 명제로 대표된다 즉, 사람의 본성은 악하여, 날 때부터 이익을 구하고 서로 질투하고 미워하기 때문에 그대로 놔두면 싸움이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