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형평성 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5 03:41
본문
Download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형평성 평가.hwp
레포트[1]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형평성 평가인문사회레포트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형평성 평가
report[1]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도입, 성과, 개선 과제 등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형평성 평가.hwp( 97 )
Ⅰ. 서 론 -------------------------------------------------1Ⅱ.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요 1. 도입 배경 및 성과 -------------------------------------1 2. 도입 의의 ---------------------------------------------2 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주요내용 ------------------------3 1)보장절차 ---------------------------------------------3 2)수급자 선정기준 -------------------------------------3 3)급 여 ------------------------------------------------5 4)자활지원 --------------------------------------------6Ⅲ.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평가 및 improvement(개선)과제課題 1. 평 가 ------------------------------------------------7 1)수급자 선정기준 --------------------------------------7 2)급여대상 ---------------------------------------------8 3)급여기준 ---------------------------------------------8 4)급여지급방식 -----------------------------------------8 2. improvement(개선)과제課題 ----------------------------------------------9 1)수급자 선정기준 --------------------------------------9 2)급여대상 ---------------------------------------------9 3)급여기준 ---------------------------------------------9 4)급여지급방식 -----------------------------------------9Ⅳ. 결 론 ------------------------------------------------10Reference List ---------------------------------------------------12
※ 단, 재산특례는 부양의무자 가구에 근로능력이 있는 가구원이 없거나 또는 재산이 주택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적용(부양의무자 재산기준 특례)
◦예외
- 부양의무자가 출가한 딸, 배우자와 이혼·사별한 딸, 사망한 아들의 배우자(며느리) 가구인 경우 : 부양의무자 가구의 재산은 고려하지 않고, 실제소득이 ‘B의 120%’를 넘는 경우에도 부양능력 미약에 해당
- 부양의무자가 출가한 딸에 대한 친정부모, 사망한 아들의 배우자에 대한 시부모인 경우 : 부양의무자 가구의 실제소득이 ‘B의 120%’를 넘는 경우에도 부양능력 미약에 해당
④부양능력 있는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부양의무자가 병역법에 의해 징집·소집되거나 해외이주, 교도소·구치소·보호감호시설 등에 수용 또는 행방불명되어 부양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봄
◦가족관계 단절 등을 이유로 부양을 거부하거나 기피하는 경우에도 인정 가능
3)급 여
(1)급여의 종류 : 생계급여, 주거급여, 자활급여, 교육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 의료급여
(2)생계급여
①일반생계급여
- 대상자 : 의료·교육·자활급여의 특례자, 노숙자쉼터, 에이즈쉼터거주자 및 한국갱생보호공단시설 거주자 등 정부로부터 생계를 제공받는 자를 제외한 모든 수급자
- 급여액 : 현금급여기준에서 가구의 소득인정액과 주거급여액을 차감하여 산정
가구별 생계급여액 = 현금급여기준액 - 가구의 소득인정액 - 주거급여액
※현금급여기준은 최저생계비에서 현물로 지급되는 의료비·교육비 및 타법지원액(주민세, TV수신료 등)을 차감한 금액으로, 소득이 없는 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최고액의 현금급여수준
<2004년도 최저생계비 및 현금급여기준 (단위 : 원/월)> 보건복지부 고시, ‘2004년도 최저생계비 개정(안)’(2003. 12. 1)
구 분1인가구2인가구3인가구4인가구5인가구6인…(省略)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도입, 성과, improvement 과제(problem) 등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